2025-01-23 여호수아(Joshua) 15:1 - 15:19
페이지 정보
Author 관리자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1-23 07:34 조회 Read767회 댓글 Reply0건관련링크
본문
2025-01-23
선두에 선 유다 지파와 갈렙
본문 : 여호수아(Joshua) 15:1 - 15:19 찬송가 331장
1 또 유다 자손의 지파가 그들의 가족대로 제비 뽑은 땅의 남쪽으로는 에돔 경계에 이르고 또 남쪽 끝은 신 광야까지라
2 또 그들의 남쪽 경계는 염해의 끝 곧 남향한 해만에서부터
3 아그랍빔 비탈 남쪽으로 지나 신에 이르고 가데스 바네아 남쪽으로 올라가서 헤스론을 지나며 아달로 올라가서 돌이켜 갈가에 이르고
4 거기서 아스몬에 이르러 애굽 시내로 나아가 바다에 이르러 경계의 끝이 되나니 이것이 너희 남쪽 경계가 되리라
5 그 동쪽 경계는 염해이니 요단 끝까지요 그 북쪽 경계는 요단 끝에 있는 해만에서부터
6 벧 호글라로 올라가서 벧 아라바 북쪽을 지나 르우벤 자손 보한의 돌에 이르고
7 또 아골 골짜기에서부터 드빌을 지나 북쪽으로 올라가서 그 강 남쪽에 있는 아둠밈 비탈 맞은편 길갈을 향하고 나아가 엔 세메스 물들을 지나 엔로겔에 이르며
8 또 힌놈의 아들의 골짜기로 올라가서 여부스 곧 예루살렘 남쪽 어깨에 이르며 또 힌놈의 골짜기 앞 서쪽에 있는 산 꼭대기로 올라가나니 이곳은 르바임 골짜기 북쪽 끝이며
9 또 이 산 꼭대기에서부터 넵도아 샘물까지 이르러 에브론 산 성읍들로 나아가고 또 바알라 곧 기럇 여아림으로 접어들며
10 또 바알라에서부터 서쪽으로 돌이켜 세일 산에 이르러 여아림 산 곧 그살론 곁 북쪽에 이르고 또 벧 세메스로 내려가서 딤나를 지나고
11 또 에그론 비탈 북쪽으로 나아가 식그론으로 접어들어 바알라 산을 지나고 얍느엘에 이르나니 그 끝은 바다며
12 서쪽 경계는 대해와 그 해안이니 유다 자손이 그들의 가족대로 받은 사방 경계가 이러하니라
13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명령하신 대로 여호수아가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을 유다 자손 중에서 분깃으로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주었으니 아르바는 아낙의 아버지였더라
14 갈렙이 거기서 아낙의 소생 그 세 아들 곧 세새와 아히만과 달매를 쫓아내었고
15 거기서 올라가서 드빌 주민을 쳤는데 드빌의 본 이름은 기럇 세벨이라
16 갈렙이 말하기를 기럇 세벨을 쳐서 그것을 점령하는 자에게는 내가 내 딸 악사를 아내로 주리라 하였더니
17 갈렙의 아우 그나스의 아들인 옷니엘이 그것을 점령함으로 갈렙이 자기 딸 악사를 그에게 아내로 주었더라
18 악사가 출가할 때에 그에게 청하여 자기 아버지에게 밭을 구하자 하고 나귀에서 내리매 갈렙이 그에게 묻되 네가 무엇을 원하느냐 하니
19 이르되 내게 복을 주소서 아버지께서 나를 네겝 땅으로 보내시오니 샘물도 내게 주소서 하매 갈렙이 윗샘과 아랫샘을 그에게 주었더라
요약: 가장 넓은 땅을 차지한 유다 지파의 사방 경계를 소개한 후, 갈렙과 함께 옷니엘과 악사를 약속의 땅을 믿음으로 취하는 또 하나의 모델로 제시합니다.
내게 주시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1-12절 르우벤 지파가 아닌 유다 지파가 가장 먼저 땅을 분배받습니다. 그들은 인구가 가장 많았기에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합니다. 이것은 유다 지파가 장차 이스라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을 암시하며, “통치자의 지팡이가 떠나지 않을 것이라”(창 49:10)는 야곱의 예언이 성취된 것입니다. 그들은 장자가 아니지만 영적인 장자 역할을 맡습니다. 이제 그들은 가나안 땅에 하나님 나라를 세우고 형제 지파들을 보호하며 그 복에 걸맞은 역할을 감당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많이 받은 자에게 많은 사명을 맡기십니다. 받은 것을 사명으로 인식할 때 복이 됩니다.13,14절 갈렙은 연로한 나이에도 불구하고 45년 전에 하나님이 약속하신 땅 ‘헤브론’을 취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을 낙담하게 했던 아낙 자손들이 결국 “하나님이 함께하시면 그들은 우리의 먹이라”고 공언했던(민 14:6-9) 갈렙의 손에 의해 쫓겨납니다. 이처럼 가나안 정복의 최대 적은 불신앙이지 외적 조건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믿음으로 반응하는 자의 몫입니다.15-19절 갈렙이 ‘기럇 세벨’(드빌)을 점령하는 자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하자 그나스의 아들 옷니엘이 나서서 그 땅을 정복합니다. 이 일로 옷니엘은 갈렙의 사위가 될 뿐 아니라 남방의 땅과 샘물까지 선물로 받습니다. 하나님 나라의 복은 하나님을 신뢰하고 용기 있게 순종의 길에 서는 자들의 몫입니다. 그러니 이제 불순종에서 순종으로, 두려움에서 용기로, 타협에서 단호함으로 삶의 태도를 바꾸어 척박한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일구어 갑시다.18,19절 갈렙은 출가하는 딸에게 황무지와 같은 네겝(남방) 땅을 줍니다. 험지 개척을 요구한 것입니다. 이에 갈렙의 딸 악사는 불평하기보다 메마른 땅을 경작하는 데 필요한 샘물을 구하여 얻습니다. 비록 척박한 땅이지만 포기하지 않고 그 땅을 일구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갈렙의 충성된 신앙은 당대에서 끝나지 않고 옷니엘의 용맹과 악사의 적극적인 지혜로 계승됩니다.
기도
공동체-하나님이 주시는 복에 믿음으로 화답하고 성실하게 가꾸어 가게 하소서.열방-지난해 엠폭스(MPOX) 감염이 2만6000건을 넘긴 아프리카는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있다. 가난하고 소외된 지역에 질병 예방과 방역 조치가 철저하게 이뤄지도록
Potential within Boundaries
Summing up[ Joshua 15:1 - 15:19 ](Hymn331)1The allotment for the tribe of the people of Judah according to their clans reached southward to the boundary of Edom, to the wilderness of Zin at the farthest south.2 And their south boundary ran from the end of the Salt Sea, from the bay that faces southward.3 It goes out southward of the ascent of Akrabbim, passes along to Zin, and goes up south of Kadesh-barnea, along by Hezron, up to Addar, turns about to Karka,4 passes along to Azmon, goes out by the Brook of Egypt, and comes to its end at the sea. This shall be your south boundary.5 And the east boundary is the Salt Sea, to the mouth of the Jordan. And the boundary on the north side runs from the bay of the sea at the mouth of the Jordan.6 And the boundary goes up to Beth-hoglah and passes along north of Beth-arabah. And the boundary goes up to the stone of Bohan the son of Reuben.7 And the boundary goes up to Debir from the Valley of Achor, and so northward, turning toward Gilgal, which is opposite the ascent of Adummim, which is on the south side of the valley. And the boundary passes along to the waters of En-shemesh and ends at En-rogel.8 Then the boundary goes up by the Valley of the Son of Hinnom at the southern shoulder of the Jebusite (that is, Jerusalem). And the boundary goes up to the top of the mountain that lies over against the Valley of Hinnom, on the west, at the northern end of the Valley of Rephaim.9 Then the boundary extends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to the spring of the waters of Nephtoah, and from there to the cities of Mount Ephron. Then the boundary bends around to Baalah (that is, Kiriath-jearim).10 And the boundary circles west of Baalah to Mount Seir, passes along to the northern shoulder of Mount Jearim (that is, Chesalon), and goes down to Beth-shemesh and passes along by Timnah.11 The boundary goes out to the shoulder of the hill north of Ekron, then the boundary bends around to Shikkeron and passes along to Mount Baalah and goes out to Jabneel. Then the boundary comes to an end at the sea.12 And the west boundary was the Great Sea with its coastline. This is the boundary around the people of Judah according to their clans.13 According to the commandment of the LORD to Joshua, he gave to Caleb the son of Jephunneh a portion among the people of Judah, Kiriath-arba, that is, Hebron (Arba was the father of Anak).14 And Caleb drove out from there the three sons of Anak, Sheshai and Ahiman and Talmai, the descendants of Anak.15 And he went up from there against the inhabitants of Debir. Now the name of Debir formerly was Kiriath-sepher.16 And Caleb said, “Whoever strikes Kiriath-sepher and captures it, to him will I give Achsah my daughter as wife.”17 And Othniel the son of Kenaz, the brother of Caleb, captured it. And he gave him Achsah his daughter as wife.18 When she came to him, she urged him to ask her father for a field. And she got off her donkey, and Caleb said to her, “What do you want?”19 She said to him, “Give me a blessing. Since you have given me the land of the Negeb, give me also springs of water.” And he gave her the upper springs and the lower springs.
1유다 자손 지파에게 가문을 따라 제비를 뽑아서 나누어 준 땅은 다음과 같다. 유다 지파가 차지한 땅은 남쪽으로는 에돔의 경계선과 만나는 지역 곧 남쪽 맨 끝에 있는 신 광야에까지 이른다.2 남쪽의 가로 경계선은 사해의 남쪽 끝 곧 남쪽으로 난 하구에서부터3 아그랍빔 비탈 남쪽을 지나 신에 이르고, 가데스바네아 남쪽으로 내려가서 헤스론을 지나 앗달로 올라가 갈가로 뻗어가다가,4 거기에서 아스몬에 이르고, 이집트 국경지대의 강을 따라가다가 지중해에 이르러서 그 경계가 끝난다. 이것이 유다의 남쪽 경계선이다.5 동쪽 경계선은 요단 강 하구, 사해 북단부터 남단까지이다. 북쪽 경계선은 요단 강이 끝나는 곳, 요단 강의 하구와 사해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여6 벳호글라로 뻗고, 벳아라바의 북쪽을 지나, 르우벤의 아들 보한의 돌이 있는 곳에 이른다.7 그리고 그 경계선은 다시 아골 골짜기에서 드빌을 지나 북쪽으로 올라가, 강의 남쪽에 있는 아둠밈 비탈 맞은쪽의 길갈에 이르고, 거기에서 다시 엔세메스 물을 지나서 엔 로겔에 이른다.8 그 경계선은 다시 힌놈의 아들 골짜기로 올라가서, 여부스 곧 예루살렘의 남쪽 비탈에 이르고, 또 힌놈의 골짜기 앞 서쪽 산꼭대기에 이르는데, 이곳은 르바임 골짜기의 북쪽 끝이다.9 그 경계선은 다시 산꼭대기로부터 넵도아 샘물까지 이르러 에브론 산 성읍들에 미치고, 또 바알라 곧 기럇여아림에 이른다.10 그 경계선은 다시 바알라에서 서쪽으로 돌아서 세일 산에 이르고, 여아림 산 곧 그살론 북쪽 비탈에 미쳐, 벳세메스로 내려가서 딤나에 이르고,11 그 경계선은 다시 에그론 북쪽 비탈로 나아가 식그론에 이르고, 바알라 산을 지나 얍느엘에 미쳐, 그 끝이 바다에 이른다.12 서쪽 경계선은 지중해와 그 연안이다. 이것이 유다 지파에 속한 여러 가문이 나누어 받은 땅의 사방 경계선이다.13 주님께서 Joshua에게 명하신 대로, Joshua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유다 자손의 분깃 가운데서, 아르바에 가지고 있던 성읍 헤브론을 주었는데, 아르바라는 사람은 아낙 사람의 조상이다.14 갈렙은 거기에서 아낙의 세 아들 곧 아낙이 낳은 세새와 아히만과 달매를 쫓아내었다.15 거기에서 그들은 드빌 주민을 치러 올라갔다. 드빌은 일찍이 기럇세벨이라고 불리던 곳이다.16 그 때에 갈렙이, 기럇세벨을 쳐서 점령하는 사람은 그의 딸 악사와 결혼시키겠다고 말하였다.17 갈렙의 형제 그나스의 아들인 옷니엘이 그 곳을 점령하였으므로, 갈렙은 그를 자기의 딸 악사와 결혼시켰다.18 결혼을 하고 나서, 악사는 자기의 남편 옷니엘에게 아버지에게서 밭을 얻어내라고 재촉하였다. 악사가 나귀에서 내리자, 갈렙이 딸에게 물었다. “뭐 더 필요한 것이 있느냐?”19 악사가 대답하였다. “저의 부탁을 하나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아버지께서 저에게 이 메마른 땅을 주셨으니, 샘 몇 개만이라도 주시기 바랍니다.” 그는 딸에게 윗샘과 아랫샘을 주었다.
Who is God like?
Thinking & Understanding
The lands and the boundaries that were drawn by drawing lots were introduced. The tribe of Judah received the largest portion (vv. 1-12). The story of how Caleb got Hebron was recorded in detail. Caleb took the city after driving out the leaders of Anak from there. In his desire to have a valiant man as his son-in-law, he promised to give his daughter in marriage to whoever captured the city. Othniel captured the city. Thus, Caleb fulfilled his promise and Othniel became his son-in-law. Caleb's daughter, Achsah, asked for and received a field that held several springs of water (vv. 13-19).
제비 뽑은 땅의 사방 경계가 소개됩니다. 유다 지파는 가장 넓은 지역을 분배받습니다(1-12절). 갈렙이 헤브론을 얻는 이야기가 더 자세히 기록됩니다. 갈렙은 건재하던 아낙의 지도자들을 쫓아내고 그곳을 차지합니다. 갈렙은 용맹스러운 사람을 사위로 삼으려고, 드빌을 점령하는 자에게 딸을 주겠다고 약속합니다. 그리고 그 약속에 따라 옷니엘이 갈렙의 사위가 됩니다. 갈렙의 딸 악사도 샘들이 있는 땅을 요청해서 받습니다(13-19절).
Who is God?
V. 1 God is sovereign over our lives. By casting lots, God determined each tribe's inheritance—the places they would live out their lives of faith. There are situations in our lives that are not of our choosing but are given to us by God. Accepting the boundaries God has set for us is a way we acknowledge His sovereignty.우리 인생의 주권자이십니다. 하나님은 제비뽑기를 통해 각 지파의 소유지를 정하시고, 그곳에서 믿음의 삶을 영위하게 하셨습니다. 우리 삶에도 우리가 결정한 게 아닌,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진 상황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결정해 주신 경계를 수용하는 것이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What lesson is God teaching me?
Vv. 13-19 We are to actively work out our faith within the boundaries God has set. Even if the life God has given you looks like a rugged mountain range or barren land, there is room for you to pioneer it in faith. Boundaries are not limits; they contain possibilities. Do not let your circumstances define you, but step out in faith and live a fruitful life.
하나님이 정하신 경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믿음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하나님이 내게 주신 삶의 터전이 험한 산지나 메마른 땅 같다 해도, 믿음으로 개척할 여지가 있습니다. 경계는 한계가 아닙니다. 하나님이 정해주신 경계 안에는 가능성이 담겨 있습니다. 현실에 자포자기하지 말고 믿음으로 열매맺는 삶을 사십시오.
Prayer
Lord, help us embrace your boundaries by faith, and to push beyond our limits by faith.
댓글목록 Reply List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There is no reply.